'산사태'의 정의
빗물이 산지사면의 토양내부로 침투하여 포화도가 증가함에 따라 불투수층(암반)과 흙의 경계가 분리되어 토층(암반상층)의 흙이 떨어져 나가는 현상
※ 빗물이 침투하여 토층(흙)은 무거워지는 반면 경계층의 마찰력은 저하되어 산사태가 발생
산 사 태
산사태 발생 메커니즘(기작)
내적요인(간접요인) : 숲(임상, 경급, 임령 등)과 산지(지질, 지형, 토심 등)의 현황이 산사태에 영향을 미치는 내재적 요인
외적요인(직접요인) : 집중호우, 태풍, 지진 등이 산사태에 직접 작용
※ 내적요인은 산지가 가진 고유인자로서 외적요인이 작용해야 산사태가 발생
산사태위험지도 제작 내용
[활용인자] 다양한 산사태 발생인자 중 영향이 큰 9개 인자를 선정하여 제작
※ 9개 인자 : 임상(숲모습), 경급(나무지름크기), 사면경사, 사면방위, 사면길이, 사면곡률, 모암, 토심, 지형습윤지수(TWI)
[수치지도 축척]산사태위험지도 제작에 사용된 자료는 1/5,000 도면활용. 다만, 산림입지도는 1/25,000, 지질도는 1/50,000을 사용
상세 테이블
구분 |
축척 |
도엽 |
추출인자 |
자료출처 |
지형도 |
1:5,000 |
17,469 |
사면경사 |
국토지리원(2019) |
사면방위 |
사면길이 |
사면곡률 |
지형습윤지수(TWI) |
임상도 |
1:5,000 |
16,270 |
임상 |
산림청(2019) |
경급 |
산림입지도 |
1:25,000 |
814 |
토심 |
산림청(2000~2003) |
지질도 |
1:50,000 |
233 |
모암 |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제작방법]과거 전국 산림의 산사태 발생 이력자료(2천 개소)를 활용하여 로지스틱회귀분석을 통해 인자별 영향력에 따라 가중치를 부여하여 산출된 산사태 발생확률을 5등급으로 구분하여 지도 제작
도로, 건물, 송전탑, 임도, 절성토, 풍력발전단지, 태양광발전단지, 체육시설(골프장, 스키장), 산사태발생지, 산불피해지, 벌채지 등과 같은 인위적 변화지를 보정인자로 적용하여 산사태 위험등급을 재조정
이용상의 한계
- 산사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매우 다양하나 본 산사태위험지도는 임상, 경급, 사면경사 등 9개 인자를 한정하여 제작한 관계로 이용상 한계가 있음.
산사태위험지도 구축 절차도